300x250

    호치민 어디 사실지 정하셨나요? 

    제 글 읽고 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느낌만 아시면 실제로 나중에 부동산 통해서 집 볼때 느낌 딱 오실거예요.

     

    대략 내 생활 반경이 어떤지, 나의 외국생활 패턴은 어떤지, 감만 잡으시는데도 어려우니, 이 글이 그런 점에서 도움이 되시면 좋겠습니다! 그럼 동네 느낌 대략 느끼셨다며 이번에는 주거 형태입니다.

    사이공리버 이미지로 찾은것인데 맞나 모르겠어요, 제가 아는 사이공리버 1군과 2군사이와 똑 닮았는데, 아니라면 비슷한 이미지 떠올리시면 좋을것같아요

    호치민은 흔히들 나이 드신 어른들이 생각하는 베트남의 이미지와는 다릅니다. 

    특히나 호치민은 한국 강남처럼 높고 관리가 잘 되는 아파트들도 많고, 유럽식의 빌라도 많습니다. 오히려 호치민에 비하면 한국은 아파트공화국인거지요.

     

    또한 호치민에서 이야기하는 빌라는 한국식의 다세대주택아닌 유럽식 빌라입니다. 그리고 정원이 있는 단독주택도 많아요. 베트남 현지 네이티브들은 정원 딸린 단톡주택을 매입해서 사는것이 꿈이라고 하네요.

    흔히 베트남 중산층의 전형적인 삶의 형태가 결혼하면 남자측의 정원딸린 단톡주택에 시부모님, 신혼부부, 그리고 아이들이 함께 사는것이 옛날 가구의 형태였다고 하는데요. 그 부분이 우리나라 30-40년전과 비슷하지요?

     

    호치민의 빌라들도 이렇게 정면 폭이 얇고 높은 형태의 건물이 많아요

     

    그런데 요즘 흔히 베트남전쟁 이후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자녀, 즉 유학파나 학력이 높은 요즘 젊은 세대들은요, 학군 좋은 시내의 아파트에 핵가족으로 신혼부부만 따로 사는 것을 선호한다고 해요. 최근 10년 사이 이렇게 바뀌었다고 해요. 베트남에 오래 사신 한인분들 말씀을 빌리자면요.

     

    저도 정확히 10년전에 베트남 여행을 3개월에 한번씩 자주 왔었는데요, 그때만해도 고층 아파트는 딱 2군데였어요. 대부분 단독주택이나 관리되는 빌라정도.. 요즘은 그때와는 전혀 다릅니다. 

     

     

    아파트는 한국 사람들이 가장 익숙하고 편하게 지낼 수 있는 곳입니다. 관리비도 베트남 물가에 비해 비싸지만 한국의 고급아파트를 생각하면 싼편이예요. 보통 방 개수에 따라 한국돈으로 7만원-15만원 정도로 이해되네요.

    대부분의 외국인들이 많이 사는 새아파트들이 단지내 공원을 가지고 있어요

     

     

     

     

     

     

    지하주차장이 구비되어 있고 거의 대부분의 호치민 내 새아파트들은 수영장, 피트니스시설들이 잘 되어있습니다.

    주상복합처럼 작은 단지안 여러상가들이 입점되어있어요. Personal Trainer 나 코치를 개인적으로 섭외해서 아파트내 장소에서 레슨을 받을 수도 있어요. 

     

     

     

     

     

    큰 단지로는 대표적으로 2군 가까이 빈홈센트럴파크가 있고 7군에는 스카이가든, 해피밸리, 그린밸리 정도로 널리 알려져있어요. 단지가 작아도 주상복합처럼 생활편의시설은 대부분 입점되어있습니다.

     

    단지 크기는 아파트내 공원의 크기 차이로 이해 됩니다.

     

     

     

     

     

    이런 외국인들이 많이 사는 아파트에는 한국인 편의시설도 많아요.

    대표적으로 K-Market, 스카이마트는 체인형태의 한인 마트인데, 호치민 내에서도 많이 입점해 있어요.

    물건들도 다양하게 구비되어있어서 사실 생활하는데 큰 불편함이 없어요. 

     

     

     

     

     

     

    이미 코로나 이전부터 호치민, 다낭 등에서 한국인들의 한달살이, 일년살이가 유명했는데, 코로나로 사실 주춤하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곳은 코로나 종식 선언을 해도 될만큼 일상을 회복하고, 호치민 내의 한인들이 타격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다른 나라에 비해 건재한 것 같아요. 

     

     

    호치민의 랜드마크81 건물과 그 옆 빈홈다지 입니다. 

     

    300x250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